일기장
성장하지 않으면 안괜찮나?
2024년 7월 10일 ~ 2024년 10월 10일 3개월간 30개의 글쓰기에 도전했던 적이 있습니다.당시 작성했던 글들을 옮긴 글입니다. 성장하지 않으면 안괜찮나? 항상 생각해왔다. 주니어 이력서나 포트폴리오를 보면 "성장"이라는 단어가 대부분 포함되어 있다. 사실 내 첫 번째 포트폴리오에도 “성장하는 개발자”라는 문구를 넣었었다. 처음에는 어떻게 써야할지, 무슨 말을 써야할지도 몰랐고 성장이라는게 뭔지도 모르면서 있어보이는 문구 같아서 썼었다. 어느순간부터 이 단어가 불편해졌다. 유난히 IT업계에서는 성장하면 안되는 병이 있는 느낌이 들었다. 사실 무슨 직군이든 성장이 안중요한 사람은 없지 않은가? 심지어 성장이라는건 문법적으로도 완전하다는 느낌은 아니다. “성장한다”, “성장했다”라고 말한다는 ..
나도 모르게 찾아오는 자만을 경계하자
2024년 7월 10일 ~ 2024년 10월 10일 3개월간 30개의 글쓰기에 도전했던 적이 있습니다.당시 작성했던 글들을 옮긴 글입니다. 나도 모르게 찾아오는 자만을 경계하자. 사람은 누구나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으면서 나름대로 상대방에 대한 이미지를 갖게 된다. 당연히 색안경을 끼고 보는 것은 옳지 않지만 관계가 생긴 이상 자연스러운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나보다 못하는 사람이라고 판단한 순간 나도 모르게 자만하고 있음을 느꼈다. 그렇다고 내가 다 잘하는 것도 당연히 아니고, 그 사람이 해결하지 못한 문제를 척척 잘 해결해낸 것도 아니다. 자만은 분명히 내 말이나 행동이나 태도에서 티가 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건 관계를 망칠 확률이 높다. 끊임없이 남과 비교하며 자기비하를 쏟아내는 것도 ..
사람이 가장 어렵다
2024년 7월 10일 ~ 2024년 10월 10일 3개월간 30개의 글쓰기에 도전했던 적이 있습니다.당시 작성했던 글들을 옮긴 글입니다. 사람이 가장 어렵다 . 세상에 쉬운것 하나 없는건 맞지만 사람, 인간관계가 가장 어려운 것 같다. 좋은 사람들과 오래 함께하고 싶은 마음, 귀인을 만나면 알아볼 수 있는 눈, 신뢰할 수 있는 관계, 사랑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사람 .. 등등 살아가면서 수없이 다양한 사람과 다양한 관계를 맺고 살아갈텐데 누구를 언제, 어디서, 어떻게 만나느냐에 따라 한 사람에게 큰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는게 겁이 나면서도 설레는 일이다.
배우고싶다, 부럽다, 감사하다.
2024년 7월 10일 ~ 2024년 10월 10일 3개월간 30개의 글쓰기에 도전했던 적이 있습니다.당시 작성했던 글들을 옮긴 글입니다. 배우고싶다, 부럽다, 감사하다. 일상이나 특히 회사에서 자주 하려고 노력하는 말들입니다. 아직은 배우고 경험해야할 것들이 훨씬 많고, 가끔 혼자서는 아무것도 못하는 뽀시래기(?)같다고 새삼 많이 느끼는 요즘입니다. 이렇게 열심히 배우겠다는 열정과, 누군가에게 기쁜 일이 생겼을 때 축하해주고 자극받는 순수한 부러움과, 도움 받았을 때 감사할 줄 아는 태도가 인간관계에 큰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
30년이라는 시간에 대해
2024년 7월 10일 ~ 2024년 10월 10일 3개월간 30개의 글쓰기에 도전했던 적이 있습니다.당시 작성했던 글들을 옮긴 글입니다. 약 30년 경력의 개발자가 진행한 어떤 강연을 들었습니다. 강연의 말미쯤 알고있는 거의 모든 분야를 하나의 그림에 담아 정리한 장표를 봤는데 가슴이 웅장해졌습니다. 그중에서 제가 조금은 알고 있다고 생각한건 겨우 1% 정도 되어보였습니다. 영상을 멈추고 한참을 생각했습니다. “4년의 대학 생활동안 이 많은 지식을 위한 기초를 잘 쌓았을까?” “나도 30년 후에 이런 커리어를 가질 수 있을까?” 동시에 그 긴 시간동안 이 정도의 지식과 경험과 통찰이 없다면 어떡해야할지 싶은 걱정도 되었습니다. 주변에 30년째 같은 일을 하고 있는 분이 아주 가까이 있으신데 시대가 ..
회사에서도 혼자서만 척척 잘해내려는건 욕심일까
2024년 7월 10일 ~ 2024년 10월 10일 3개월간 30개의 글쓰기에 도전했던 적이 있습니다.당시 작성했던 글들을 옮긴 글입니다. 저는 어렸을 때부터 혼자 스스로 하는 것에 익숙해져왔습니다. 덕분에 시키지 않아도 알아서 척척 잘하는 아이라는 말도 많이 들어왔고 집에서는 혼자서도 알아서 잘하니 걱정이 없다는 말을 들으며 자랐습니다. 큰 장점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다른 사람에게 민폐나 불편을 끼치지 않으면서 도움을 받지 않아도 혼자서 뭐든지 잘 해내는 사람이 된 것만 같았거든요. 그런데 회사에서는 어디까지 혼자 해야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혼자 일하는 것이 아니고 좋은 팀원들이 있음은 너무나 잘 알고 있습니다. 제가 도움을 요청한다면 적극적으로 도와주실 분들이라는 것도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누군가에..